국민은 정말 알고 있는가?
2022.11.27.
정신과의사 정동철
결론부터 말한다. 국민은 아는 게 아니라 정말 모르고 있다. 국민, 인간의 뇌는 디지털 컴퓨터와 같은 기계가 아니다. 한 번의 정보 입력 저장으로 기계가 망가지지 않는 한 영속하는 것과는 달라서다. 어린 시절부터 경험한 우리의 학창 생활, 한번 읽고 듣고 보고 쓴 내용을 시험 때 100점 받은 경험이 있다면 과연 당연한가? 뉴스 한번 보고 들으면 세상을 모두 안다고?
언론의 본질 또는 본령이라는 어려운 개념은 비켜 간다. 제4의 권부란 두려움이 걸린다. 건사할 능력은 나에게 없다. 어쩜 ‘개, 돼지’ 과에 속하는 형편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국민은 아는 게 아니라 정말 모르고 있다. 일회성 단편적 뉴스로 소개된 소식, 그나마 공정성 앞에선 한계라는 의미다.
냇가에 들어선 아파트에 살기로 25년이 지났다. 당연히 냇물의 흐름과 변화를 알았을 것이다. 그러나 냇물의 높낮이가 달라진다는 것을 제외하곤 늘 뚝 방에 갇힌 물줄기와 그 형세는 거기서 거기 변화가 없다며 오늘에 이르렀다. 민심 즉 국민의 한 사람으로 나의 수준은 거기에 머물러 여기에 이른 셈이다. 노상 세상 민심을 앞세워 자신의 주장을 강조하며 합리화에 능숙한 다양한 지도자들, 그나마 그들의 제도권 뚝 방에 갇혀 냇물처럼 안주하며 세상사 흐름의 변화를 세세히 넘볼 이유가 없었고 특히나 제4의 권부 언론에 익숙해진 것이 전부였던 탓일지도 모르겠다. 한데 날이 갈수록 행정부와 사법부는 그렇다 치고 언론과 입법부의 흐름에 의문의 벽돌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주장하는 사람들은 나 같은 국민의 마음을 다 안다고 전제하며 자신들의 권력과 이해관계를 여론을 인용 예외 없이 국민을 위해서라고 강조하고 있다. 언론이 거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두드러지자 생긴 의문, 정말 나는-우리 모두는, 알고 있다는 것일까?
창 넘어 보이는 냇물, 탄천(炭川)이다. 어린 시절 전쟁이 터져 큰집으로 피난 갔던 곳이 바로 숯내(탄천)를 끼고 있는 숯골(수진리=성남 수진동)이다. 뚝 방은 아예 조성되지도 않은 시절, 물줄기는 철마다 바뀌고 넓이도 변했다. 한강도 그렇긴 마찬가지였다. 용산 인도교 주변의 물줄기는 늘 거기서 거기 높낮이가 다를 뿐이나 뚝섬 위로 올라가면서 모래사장은 물론 봉은사 넘어 잠실벌은 물바다로 변하곤 했다. 자연과 더불어 국민은 할 일 생업에 충실하며 살아왔을 뿐이다.
기후변화가 새롭게 사회에 등장했다. 국지성 폭우나 가뭄으로 긴박한 일이 여기저기 터지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하지만 그냥 그랬다. 거듭 그런 범위 속에서 삶은 여기까지 흘러 내려온 셈이다. 사회적 이런저런 흐름, 그것은 제도권에 의해 단단한 뚝 방처럼 보호(?)되 긴박함은 체감되지 못한 채 여기에 이르른 것이다. 그러나 거듭 강조한다. 세상은 달라지고 있다. 아니 달라졌다.
노조의 파업과 그 위력이 뚝 방을 넘나들듯 아슬아슬 불안해지기 시작했다. 오늘의 강국(?)으로 발전한 것은 분명 노동력의 결과다. 노조의 공로일 것이다. 하지만 노조의 파업이 확산되면서 세상의 흐름은 어수선해지기 시작했다. 파업 천국, 미쳐 세상을 몰랐던 것은 ‘도어스테핑’이 없어져서가 아니었다.
“물류(物類)를 멈춰 세상을 바꾸자. 우리가 멈추면 세상이 바뀐다.”
여덟 시간 추가 연장 근로제가 마침 일몰에 이르렀다. 영세 중소기업의 구명줄도 끊어질 형편이다. 새삼 냇가의 물줄기가 밀려드니 놀라게 됐다. 아는 것보단 절벽이 앞을 가린다. 무슨 안전운임제를 이유로 총파업을 벌이는 결과가 냇물의 흐름만 살펴본다고 해결될 형편이 아닌 것을 감각적으로 알아차렸다. 민노총의 정치투쟁 때문이란 주장까진 나 같은 소시민으로서는 하지만 이해할 길이 막막해졌다. 무기개발은 세계시장의 5%를 목표로 세울 만큼 당당해진 대한민국을 강조하지만 노동력 없어도 가능한 것일까? 그러지 않아도 세계인구는 증가하여 지난 11월 15일 80억에 이르렀다는데 한국의 노동인구는 줄어들기 바쁜 실정이란다. 세계적 인구증가 속의 양극화(兩極化-빈부)는 우리나라에선 정치적 기득권으로 정해진 법에 따라 상생을 강조할 뿐 그 세를 굳혀 특권을 누리려는 속내, 그것을 나는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 국민 또한 대개의 경우도 같지 싶다. 겉으론 명확하다. 자유와 민주화를 강조하면서 말이다. 조선조 금수저 박원종(朴元宗;2017년 MBC 드라마-역적;백성을 훔친 도적)의 최후가 엮이면서 앞이 어둑어둑 캄캄해진다. 당사자의 문제가 아니다. 주변 소시민들만 딱한 처지로 전락하니 말이다. 대체 어린 학생들 밥 대신 빵을 먹어야 하고, 대학병원 외래환자는 무슨 죄로 하염없이 기다리기만 해야 하나? 어디 그뿐인가, 청소년의 자살율(自殺率)과 노인 인구는 폭증하는데 출산율(出産率)은 바닥이다. 게다가 청춘남녀의 비혼동거(非婚同居;돈드는 결혼 말고 동거)로 결혼제도가 대치될지도 모른다는 뚝 터지는 소리, 한두 곳의 문제가 아니다.
연산군을 내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나선 세 대장 중의 한 사람이 박원종, 그때 나이 39세로 43세에 죽을 때까지 온갖 영화와 권력을 누렸다는 것은 관심사가 아니다. 그로 인해 겪었던 불편한 생각이 문제다, 그중에서도 누구나 거론하기 꺼리는 언론의 역할과 사회적 불투명한 흐름이 뜨겁게 미묘한 온기로 바뀐다.
일기예보 없이 장마 난국을 피할 길이 있을까? 뭔가를 알아야 대처할 가능성이 생긴다. 바로 언론의 역할이다. 세상을 좌지우지하는 곳에 발을 묻어놓고 사사건건 그 세력에 편승하면서 국민의 마음을 구석구석 다 안다고 하는 사회적 현상에 일부 언론이 장구 치고 북 치는 꼴. 뚝이 잘 됐는지 무너질지 그것이 누구의 탓인지, 그때그때 사안마다 인과관계(因果關係)를 분명히 사실대로 밝혀주면 좋으련만, 그래야 국민이 세상의 흐름을 알게 되는 중요한 역할이 되건만 현실은 그렇지가 않다. 노사(勞使)문제만 해도 그렇다. 국회의원을 국민이 뽑았으니 입법부가 곧 민심이 된다는 것은 사리에 틀린 것은 아니다. 문제는 국회의원을 뽑을 때 국민이 나라의 흐름과 옳고 그름을 알아, 장차 강줄기가 어디로 어떻게 흐를 것인가를 미리 짐작할 수 있게 도왔다면 탈이 없었겠지만 현실은 그렇지가 않았다. 해서 언론의 중요성은 더욱 심각해진다. 한데 언론의 자유라는 방패막이를 통해 주장하는 대로 장단에 안주하기 바쁜 가운데 과연 국민이 세상을 어찌 알겠는가? 껍데기만 알뿐 속은 늘 허황하니 텅 비어 알았는가 싶다가도 곧 잊고 또 잊는 꼴이다. 정말 안다 할수 있겠는가? 여기에 고명하고 지체 높은 얘기로 이리 짖고 저리 볶으니 도도한 신문기사를 보고 이해하는 국민 얼마나 될지.. 솔직히 너무 어렵고 모르는 단어와 개념들 하도 뒤섞여 나 역시 촌스럽게 모르긴 마찬가지다. 왜 이렇게 됐을까? 알아듣기 쉽게 말하다간 곤욕을 당할 것이 너무도 뻔하기 때문에? 상업화(商業化)나 정론화(政論化)를 거론할 계제는 아니다. 어림없는 얘기 일단 제쳐두고 오직 챙겨주길 바라는 것, 사실성(事實性), 공정성(公正性) 그리고 인과성(因果性)을 기사화할 때마다 반복 분명하게 따라 부쳐 주기만을 바라는 것일 뿐이다. 분명 일간지인데 주간지처럼 이리저리 활용하면서 이미 밝혔기에 생략한다며 모든 책임을 협치(協治)가 안 된다는 사실에만 방점을 두텁게 찍어두려 한다. 나 같은 국민은 끝내 아리아리 정말 모르고 살아야 할 형편이다. 국민은 다 안다고 강조하질 말던가.
한 해가 저문다. 새해부터는 잘 합시다가 아니라 금년 마무리를 깔끔하게 하고 새해를 맞도록 해야 되지 않을까? 검수완박(檢搜完剝)은 미급해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부 판검사의 판단이 잘못됐다면 그들의 명줄을 막아버리는 법을 만들어 기왕의 물줄기를 든든하게 지키겠다며 새로운 개념이 거론된다고도 한다. 숨이 막혀 갑갑하다. 북쪽에선 우리의 생명줄을 노리며 희희낙락 미사일을 쏘아대는 차제에.. 따라서 새로운 분야 가령 AI가 급발전 윤리를 감수하기에까지 이르고 있음이 현실이라 한다. 암(癌)진단을 보다 섬세하고 정확하게 신속히 하는 것은 이미 진행형이다. 알츠하이머(치매) 치료를 위해 죽어가는 뉴런(뇌 신경세포)을 AI로 재구성하여 대체해간다면 치매로 잃어버리는 기억을 재생 방지하는 방법에 도전하기도 한다. 처럼 언론의 객관적 사실성과 공정성 그리고 인과성을 위한 AI를 개발한다면 사정은 달라질지 모른다. 물론 AI가 인간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거란 기대를 거론할 처지는 아니다. 그럴 능력도 나에겐 없다. 다만 상상을 넓혀간다는 것까지 막을 이유는 없지 않을까? 비로소 국민은 정말 사회적 정의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지니 하는 말이다.
우리는 언론 보도를 통해 무수한 광고를 접하며 산다. 1회적 광고로 모든 국민이 정확하게 기억할 거라고 믿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거액의 돈으로 지겨울 만큼 반복되는 광고로 비로서 기억에 남을 거라는 사실은 알고 있다. 그것도 처음 그대로. 서두에서 밝힌 학창시절, 한 번의 학습 자료가 완벽하게 기억될 수 있는 뇌가 몇이나 있을까. 그렇다고 뉴스를 광고처럼 반복해야 한다고 강조하진 않는다. 그럴 이유도 없다. 문제는 결과를 두고 책임을 묻는 것으로 족하다. 기억하지 못한 인과관계를 이미 발표한 언론의 입장에선 그 책임이 국민에게 있다고 강조한다는 점이다. 광고처럼 뉴스를 반복하길 기대하는 국민은 없다. 국민이 다 알고 있다는 근거로 발표된 인과관계를 스스로 챙기지 않는 것은 국민 자신의 몫이라고 강조하려는 점을 말하는 것뿐이다.
우리의 뇌는 한 번의 학습으로 기억의 책임을 질 그런 기능은 없다고 했다. 책임을 묻기 전에 인과성을 기사화할 필요시는 반복 명시할 의무가 있지 않겠는가를 검토해 보길 바라는 언론관을 거론하고있는 중이다. 틀린 주장일까? 국민은 정말 다 알고 있고 그런 국민의 마음을 믿고 있다는 주장이 정말 정당한가? 우리의 뇌가 따라잡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했음 하는 생각뿐이다.
우리의 뇌는 디지털 시스템으로 결정된 기계가 아니라 했다. 양자개념의 q-bit(00, 01, 10, 11)와 유사성이 있을 듯(빛이 입자이면서 파동이란 2중성, 전자의 위치를 알면 속도를 속도를 알면 위치를 모르는 불확정성 원리처럼) 그러나 아니다. 언론계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정확하게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결국 AI까지 비유했지만 인간의 뇌 자체와는 너무 다름을 고려하길 바란다는 의미다. 국민, 인간은 모든 정치적 상황과 인과관계(因果關係)를 정확하게 모른다는 사실을 인지했다면 언론인의 의무와 책임 역시 곰 씹을 수 있을 것이다. 거듭 강조한다. 양자란 미시세계와 우주적 거시세계의 4대 힘, 강력(强力), 약력(弱力), 전자기력(電磁氣力), 그리고 중력(重力), 아인슈타인은 이 4대 힘을 통합하겠다며 통일장이론(統一場理論)을 내세웠지만 인간은 밝히지 못했다. 같은 장이론으로 감히 언론(言論)이 국민을 정략적(政略的) 기억력을 오도(誤導)해도 되는지를 묻게 되는 연유다. 당연히 그렇지 않을 것이라 믿으려 숙고(熟考)하면 (2022.11.27.)
참고: 2022.12.01.:- 상기 기고문 4일 후 현실의 한 측면
1.
한국직업늉률연구원;-「2022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35개 직업 중 국회의원(4.39점-5점 만점)의위세가 가장 높았다. 이어 법조인(4.38점), 의사(4.31점) 이어 고위공무원(4.17점) 순이다. 반면 직업윤리 수준은 국회의원 2.45점으로 최하위, 이어 공무원(2.94점), 법조인(3.01점) 순위였다.
언론인의 직업윤리는 2018년 3.27점에서 2.22년엔 2.85점으로 떨어졌다. 35개 직업중 30번째로 낮다.
반면 위료인의 직업윤리 점수는 높았다. 직업윤리 수준 1위 의사, 2위 간호사, 3위 교사, 4위 약사, 5위 사회복지사 순이다.-2022.12.01. 중앙일보
2.
‘기울어진 운동장’ 의혹 민주당의 공영방송법안 단독 처리: 동일자 중앙일보 사설중 일부.
...친민주당이나 친미주노총언론노조 인사로 운영위를 채우려는 고도의 계략이 담겨 있다고 여당은 의심한다. 야당시절인 2016년 공영방송 이사회를 13명으로 구성하고 3분의 2 찬성으로 사장을 선임하는 방송법 개정안을 냈다가 집권한 뒤엔 처리에 소극적이었던 민주당의 전략도 이번 법안의 진정성을 의심케 한다... 이재명 대표 사법 리스크의 맛대응 카드로 활용하거나 정쟁의 도구로 삼기에 공영방송의 정상화 여부는 우리 사회에 미치는 파괴력이 너무나 큰 주제다.
3.
뒤죽박죽 내년 예산안 심사, 나라 살림 앞날 안 보인다.: 동일자 이데일리 사설 일부.
... 엇갈린 정치적 예산도 예산 심사를 겉돌게 했다. 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원전 수출 지원 등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 예산을 대거 삭감하면서 탈원전·신재생 등 문재인 정부실때의 정책 실패와 관련된 예산은 수조원까지 마구 늘린 민주당의 역주행에 있다고 봐도 틀리지 않는다. .
참고: 중앙일보(2022.12.20.) 33일 후 1면 기사와 이어진 6면 기사.
‘사실 여부는 관심 없다. 여론 만드는 여론조사’ 1면 기사
‘진실 왜곡 부메랑... 100만 명(휴대폰 이용자)이 “여론조사 전화 안 받겠다.” 6면 기사